이정재의 감독 데뷔작으로 기대를 모은 영화 헌트는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80년대 우리나라 역사를 반영한 작품으로 그 시절 독재정권을 향한 반발과 북한과의 팽팽한 긴장감을 동시에 다뤄 2시간 동안 한 시도 눈을 뗄 수 없었던 영화이다. 조직 내 스파이를 찾기 위한 두 남자의 대립 속에서 1분 1초를 방심할 수 없었던 영화 헌트를 함께 감상해보자.
한 목표물을 향한 두 사냥꾼들의 싸움
현재 국정원인 80년대 안기부는 국내팀 해외팀을 나누어 관리하고 있었다. 핵 연구가를 은밀하게 망명시키려는 작전을 수행하던 도중 작전이 노출된 것을 알게 된다. 조직 내 스파이가 존재함을 알아채고는 안기부 박평호 차장과 김정도 차장은 자신의 팀을 지키기 위해 서로를 감시하고 조사한다.
새로 취임한 부장은 각 팀에게 스파이를 색출하라는 지시를 한다. 서로를 의심하고 헐뜯고 약점을 파고들며 두 남자의 싸움이 시작된다. 그렇게 각자의 은밀한 비밀들이 노출이 되고 서로를 공격하고 의심하는 상황에 이른다. 그런 도중 박평호 차장이 북한의 스파이라는 게 밝혀진다. 북한군으로부터 대통령을 암살한 후 통일이 아닌 남한을 공격한다는 계획을 알게 된다. 통일을 꿈꾸던 박평호는 많은 사람들의 희생을 떠올리며 막으려 했지만 오히려 자신이 북한군으로부터 버림을 받게 될 위험에 처한다. 그런 박평호를 김정도는 살려준다. 같은 목적으로 두 남자의 목표물이 확실해지면서 그 둘의 대립이 멈추게 되는 장면이다.
김정도의 의도를 알지 못한 박평호는 불안해했지만 원래의 계획대로 대통령의 방콕 순방은 진행되었고 거기서 예정대로 북한의 테러 계획은 계속되고 있었다. 많은 사람들의 희생이 예견된 가운데 박평호는 북한군의 대통령 테러를 막으려 했다. 하지만 원래 자신의 목표와 같았던 김정도의 베드로 사냥 작전을 알게 되고 그가 자신을 돕고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오히려 테러를 막고자 하는 북한 스파이 박평호와 테러를 통해 대통령을 시해하려는데 동참하는 김정도의 아이러니한 상황이 벌어진다. 그렇게 대통령만을 기다리던 중 대통령으로 오인한 차량으로 인해 북한 테러범들은 나팔 소리에 맞춰 폭탄을 터뜨린다. 대통령인 전두환은 한 발 늦게 등장하여 살아남을 수 있었고 도망가는 대통령을 잡기 위해 김정도가 나선다. 그를 막아서는 박평호로 인해 전두환은 무사히 도망갈 수 있었다.
5.18 민주화운동으로 많은 사람들을 희생시킨 것에 분노한 김정도는 오래전부터 전두환을 상대로 사냥을 준비해왔고 그 끝이 다가왔는데 실패로 돌아가자 자신의 목숨을 놓아버리게 된다. 자칫 큰 전쟁으로 커질 뻔한 테러를 막아낸 박평호는 북한으로부터 목숨을 뺏기며 끝이 난다.
아웅산 묘소 폭탄 테러를 각색한 영화 헌트
1983년 미얀마를 방문한 전두환 전 대통령을 북한이 암살을 시도한 사건을 각색하여 영화에 접목시켰다. 1983년 동남아시아 순방 계획 중 예정에 없던 미얀마를 방문하기로 정해졌다. 미얀마의 영웅 아웅 산 장군의 묘소를 들리는 일정을 소화하던 도중 북한으로부터 테러를 당하게 된다. 천운이 따른 전두환 전 대통령은 예정된 시간보다 늦게 출발하였고 그로 인해 비서실장이 묘소에 먼저 나타나면서 전두환 전 대통령으로 오인받아 북한의 테러가 시작되었다. 영화에서처럼 나팔 소리에 맞춰 테러를 감행하기로 한 북한 테러범들은 전두환 대통령이 온 것으로 착각하여 무고한 사람들만 희생시켰다.
정우성 이정재의 우정이 빛났던 영화
믿고 보는 배우 이정재가 출연하고 감독 데뷔작이라는 소식에 부리나케 영화관으로 달려갔다. 평점이 높은 만큼 기대가 많이 컸다. 처음에는 정신없는 전개로 이야기 흐름을 따라가는데 힘들었지만 중반부부터는 흥미진진하며 두 남자와의 대립으로 몰입하며 볼 수 있었다. 어제의 적이 같은 목적으로 하나가 되는 순간이 반전이었다.
많은 사람의 희생이 예고된 북한의 총공격을 박평호는 스파이지만 남북한이 한 번에 많은 희생을 나을 거란 걸 알고 대통령을 구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북한의 스파이지만 인간성을 가진 한 인간의 모습을 보여줬다. 이에 반해 김정도 차장은 대통령의 무분별한 독재를 막기 위해 이 나라의 대통령이지만 목표물로 삼았고 북한의 스파이인 박평호를 도운다.
치고받고 싸우며 자신이 사냥감이 되지 않기 위해 서로를 헐뜯는 모습에서 방향은 다르지만 목적은 같은 상황에서 서로를 돕는 모습이 아이러니하지만 웃겼다. 결국 그 하나로 많은 사람들의 피해를 막고자 했던 박평호의 선택으로 많은 이들이 현재까지 살아남을 수 있었고 전쟁을 막을 수 있었다. 현재까지 이어오는 분단국가에서 나올 수 있는 영화이며 아슬아슬한 휴전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우리나라의 슬픈 현실이 반영되었다. 또한 전두환 시절 독재 속에 살아갔던 시민들의 무차별한 폭력은 그 시절을 반영하여 슬펐다.
허구를 다룬 영화이지만 실화를 모티브로 삼은 영화이기에 다소 무거운 영화였다. 쉽게 볼 수 없는 영화였고 그 시대를 알고 본다면 더 공감하고 몰입하며 볼 수 있을 것 같다.